나의 한국전쟁
-한 중국인민지원군 전쟁포로의 60년 회고
장쩌스/손준식,이사사 역
1951년 중화인민지원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가 생포되어 전쟁포로가 된 저자가 체험한 포로 생활 및 귀국 후 겪은 역정을 자전체 르포문학 형식으로 기록하였다.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포로가 된 중화인민지원군의 삶을 다룬 당사자가 쓴 가장 종합적인 저술이며, 수용소의 실상과 귀국 이후의 처지 및 복권을 위한 노력 등을 포괄적으로 상세히 저술한 책은 이 책이 유일하다. |
|
|
도둑맞은 이름들
-한국 근대문학과 식민지 모더니즘
최현희 저
식민지기 한국 문학에서 ‘한국’이 모더니즘적으로 기원하는 순간들을 쫓아간다. ‘한국’은 출판물에 인쇄된 이름일 뿐이었고 그것을 자기의 이름으로 받아들인 식민지인들에 의해 실체화된다. 그것은 식민 지배 체제 내에서 식민주의자와 전체주의자들에게 도둑맞고 멋대로 곡용되고 착취된다. 그러나 ‘한국’이라는 텅 빈 이름을, 아무 근거도 없이 자기의 단 하나의 이름으로 기꺼이 부르는, 아무 근거 없는 식민지들의 수행에 의해 ‘한국’은 미래로 열린 가능성을 담는 그릇이 될 수 있었다. 이 책은 모더니즘을 통해 식민지기 한국 근대문학에 대한 새로운 이론화 가능성을 묻는 시도이다.
|
포스트 젠더학의 가능성-모성, 정치, 갈등
모토하시 리에/이은주 역
여성들이 근대와 신자유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어머니'와 '모성' 신화가 어떻게 전개되고 재구성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모성, 정치, 갈등을 키워드로 기존의 일반적 개념을 넘어 여성/남성이라는 정체성의 재구성을 통해 어머니의 의미와 사회적 변화의 가능성을 찾아내어 젠더학의 의미를 다시 되돌아본다. |
|
|
소명출판smpub@naver.com서울시 서초구 사임당로14길 15, 서광빌딩 2층 | 02-585-7840수신거부 Unsubscribe |
|
|
|
|